티스토리 뷰
코를 심하게 골거나 자다 말고 숨이 멎는 것처럼 느껴진 적 있으신가요?
혹은, 아침에 머리가 띵하거나 하루 종일 피곤한 느낌이 지속된다면
수면무호흡증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증상을 가볍게 여기고 방치하면
단순한 피로를 넘어서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요.
오늘은 수면무호흡증을 방치했을 때 생길 수 있는 주요 건강 문제 7가지를 알려드릴게요.
1. 고혈압
수면 중 산소 부족이 반복되면 자율신경이 과흥분되어
심장이 쉬지 못하고 계속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야간 고혈압, 새벽 고혈압이 생기고
장기적으로는 만성 고혈압으로 발전할 수 있어요.
2. 심장질환 (부정맥, 심부전, 협심증)
산소가 부족한 상태가 반복되면 심장은 무리하게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정맥, 심장 비대, 심부전, 심장마비까지도 유발될 수 있습니다.
미국심장학회(AHA)는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최대 3배 높다고 보고했어요.
3. 뇌졸중
수면무호흡증은 뇌로 가는 산소 공급을 반복적으로 끊어
뇌혈관을 손상시키고, 그 결과 뇌졸중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심지어 뇌졸중 후 회복률도 더 낮고, 후유증도 심한 편입니다.
4. 제2형 당뇨병
산소 부족과 수면 분절은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혈당을 조절하는 기능을 망가뜨립니다.
이에 따라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당뇨병 발병 위험도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5. 우울증과 불안장애
수면이 반복적으로 방해되면
뇌의 감정 조절 기능이 약해지고
세로토닌, 도파민 같은 기분 조절 호르몬 분비도 감소하게 됩니다.
그 결과, 불안감과 우울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6. 기억력 저하 및 인지기능 장애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깊은 수면이 줄어들면
기억을 정리하고 뇌를 회복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장기적으로는 치매 위험까지 높일 수 있어요.
특히 중년기 이후에는 뇌 건강과 수면이 더욱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7. 주간 졸림 및 사고 위험 증가
숙면이 방해되면 낮에도 지속적인 졸림과 피로가 쌓여
운전 중 사고 위험, 일상 속 부주의 사고가 증가하게 됩니다.
미국 교통안전청(NHTSA)는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교통사고 위험이 2배 이상 높다고 경고하고 있어요.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수면 문제가 아닙니다.
심장, 뇌, 정신건강, 면역력까지 영향을 미치는
전신 건강의 ‘조용한 파괴자’죠.
의심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수면검사를 받아보고,
작은 습관부터 개선을 시작해보세요.
수면무호흡증을 줄이는 생활법은 다음 추천글에서 확인해보세요.
'기타 건강 이슈 > 수면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면 유도하는 아로마테라피, 중년에게 추천하는 향 5가지 (0) | 2025.06.12 |
---|---|
중년 수면과 심혈관 건강의 밀접한 관계 (0) | 2025.06.12 |
숙면 위해 꼭 피해야 할 저녁 행동 5가지 (1) | 2025.06.12 |
밤에 땀 많이 흘리는 중년 여성, 수면 건강 점검이 필요합니다 (2) | 2025.06.12 |
수면 부족이 우울감까지 불러온다? 중년이라면 더 조심해야 합니다 (1) | 202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