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무릎이 너무 아픈데… 수술밖에 답이 없을까요?”

퇴행성 관절염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입니다.
수술이 무섭고 걱정되지만, 지금의 고통은 참기 어렵고…

하지만 꼭 기억하세요.
무조건 수술이 정답은 아닙니다.
특히 연골이 완전히 닳기 전까지는
다양한 비수술 치료법으로도 통증을 줄이고 삶의 질을 지킬 수 있어요.

지금부터 수술 전에 꼭 시도해볼 만한 치료법들을 정리해드릴게요.

 

1. 주사 치료 – 염증 완화와 윤활 작용

가장 흔한 비수술 치료 중 하나예요.
관절 안에 직접 약물을 주입해 염증을 줄이고, 관절 움직임을 부드럽게 도와줘요.

종류:

  • 스테로이드 주사: 통증 심할 때 효과 빠름. 단, 장기 사용 주의
  • 히알루론산 주사: 관절 윤활 작용, 부작용 적음. 1~5회 반복 투여
  • PRP(혈소판 풍부 혈장) 주사: 자가혈 활용 재생 유도. 효과 개인차 있음

 

2. 체외충격파 치료 – 재생 촉진 & 혈류 개선

체외에서 강한 충격파를 통증 부위에 쏘아주는 방식입니다.
연골이나 인대 주변 조직의 혈류를 늘리고, 염증을 억제하며
손상 부위의 회복을 촉진해줘요.

수술이 부담스러운 초기 관절염 환자에게 많이 사용되고,
회복 시간도 짧아 직장인이나 활동적인 분들께 추천됩니다.

 

3. 고주파 열치료(RF) – 신경 차단으로 통증 완화

무릎 관절 주변의 통증 신경을 고주파로 살짝 차단해주는 치료예요.
‘태우는 것’처럼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는 아주 미세한 열로 신경만 살짝 눌러주는 방식입니다.

효과는 평균 6개월~1년 지속되며,
고령자나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많이 활용돼요.

 

4. 운동 치료 + 도수 치료 – 근육이 곧 관절의 보호막

운동을 안 하면 무릎은 더 약해져요.
전문 물리치료사와 함께 근육을 단련하고, 관절의 위치를 교정해주는
‘운동 치료’와 ‘도수 치료’도 꼭 병행해야 해요.

특히 허벅지 앞쪽 근육(대퇴사두근)을 강화하면
무릎의 충격을 덜 받아 통증도 훨씬 줄어듭니다.

물리치료만 잘 받아도 수술을 미루는 경우가 많아요.

 

비수술 치료,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이런 비수술 치료는 주로 관절 간격이 남아 있고, 연골이 완전히 닳지 않은 경우에 효과적이에요.

하지만 연골이 거의 없어지고, 뼈끼리 부딪히며 통증이 지속된다면
그땐 인공관절이나 절골술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해요.

“무조건 버티기”보다는 “수술 전 최선을 다해보기”가 정답입니다.

 

무조건 수술? 아니요, 그 전에 할 수 있는 게 많습니다

지금 통증이 심하다고 바로 수술을 결정하지 마세요.
내 무릎 상태에 맞는 비수술 치료를 꾸준히 받는다면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무릎은 한 번 바꾸면 되돌릴 수 없어요.
그러니 지금 내 무릎이 아프다 말할 때,
비수술 치료라는 기회를 꼭 먼저 붙잡아보세요.

관련된 내용을 더 알고 싶다면 아래 추천 글도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