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허리가 너무 아픈데… 디스크일까요, 협착증일까요?”
“두 개가 어떻게 다른 건가요?”

중년 이후 허리가 아프기 시작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두 단어, 바로 ‘디스크’와 ‘협착증’입니다.

둘 다 허리통증의 대표 원인이지만,
증상도 다르고, 치료 방법도 다르고,
회복 시점도 완전히 달라요.

그래서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허리 건강을 지키는 첫 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의 차이를
정확하고 쉽게 비교해드릴게요.

 

1. 디스크는 ‘젊은 허리’의 문제, 협착증은 ‘노화된 허리’의 문제

허리디스크(요추추간판탈출증)는
말 그대로 디스크가 빠져나와
신경을 누르는 질환입니다.

젊을 때 무리한 동작이나
무거운 물건을 잘못 들었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급성 통증이 주로 특징이에요.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디스크, 인대, 관절이 노화로 인해 두꺼워지고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점점 좁아지는 병입니다.
그래서 보통 50대 이후에 서서히 발생하죠.

디스크는 ‘갑자기’ 아프고,
협착증은 ‘서서히’ 진행되며 점점 힘들어지는 게 차이입니다.

 

2. 증상 구분 – 언제, 어디가, 어떻게 아픈가?

가장 쉽게 구분할 수 있는 건 ‘증상’입니다.
아래 표로 비교해볼게요.

구분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통증 발생 시기 갑자기, 젊은층도 많음 서서히, 주로 50대 이상
통증 위치 허리~엉덩이~다리 방사통 엉덩이~허벅지~종아리 저림
특징 앉으면 통증 완화, 누우면 심해짐 앉으면 좋아짐, 오래 서 있거나 걷기 힘듦
걷기 상태 짧게라도 걷기는 가능 신경성 간헐적 파행 (조금만 걸어도 다리 저림)
자세에 따른 변화 허리를 숙이면 통증 심해짐 허리를 숙이면 오히려 편해짐



디스크는 움직임에 따라 통증이 급격히 변화하고,
협착증은 ‘서서히 점점 못 걷게 되는 병’
이라는 걸 기억하세요.

 

3. 진단 방법 – MRI로 확실히 알 수 있어요

허리통증만으로 두 질환을 구분하긴 어렵습니다.

그래서 병원에서는 보통
문진, 이학적 검사, 그리고 MRI(자기공명영상)를 통해
디스크 탈출 여부나 척추관 협착 정도를 확인합니다.

MRI를 통해 다음을 확인할 수 있어요.

  • 디스크가 얼마나 튀어나와 있는지
  • 신경이 실제로 눌리고 있는지
  • 척추관이 좁아져 있는 범위와 위치


빠르게 진단을 받는다면
수술 없이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훨씬 많아지기 때문에
찌릿하거나 다리 저림이 지속된다면 꼭 병원에서 확인해 보세요.

 

4. 치료 방향도 다릅니다 – 무조건 수술은 아닙니다

디스크든 협착증이든, 요즘은 수술보다 비수술 치료가 우선입니다.

허리디스크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으로
통증과 염증을 가라앉히고,
신경차단술이나 고주파 치료도 고려할 수 있어요.

척추관협착증
걷는 것이 어려운 간헐적 파행이 계속될 경우
신경성 약물치료, 주사치료, 보조기 착용 등이 도움이 되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수술을 고려하게 됩니다.

두 질환 모두
적절한 시점에 진단받고 관리하면
충분히 수술 없이 호전 가능
하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허리 아프다고 다 같은 병은 아닙니다

허리통증은 누구나 한 번쯤 겪지만,
그 원인과 종류는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디스크와 협착증은 비슷해 보이지만
통증의 원리부터 완전히 다른 질환이에요.

내 증상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언제부터 아팠는지,
어떤 자세에서 더 불편한지를 스스로 관찰해보세요.

정확한 구분이
더 빠르고 정확한 회복의 열쇠가 되어줄 거예요.

관련된 자가 진단표나 치료법 비교가 궁금하다면
아래 추천 글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